실행 환경 설정
JRE 혹은 JDK 버전 1.5 미만의 JAVA 환경에서 CUBRID 매니저를 실행하면 "지원하지 않는 JRE 버전. CUBRID 매니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JRE 1.5 이상 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매니저 환경 설정 파일
CUBRID 매니저의 환경 설정 파일은 cm.conf이고, "$CUBRID/conf"에 위치한다.
파라미터 설정
CUBRID 매니저의 환경 설정 파일에서 주석은 "#"으로 처리되며, 파라미터 이름과 값이 저장된다.
파라미터 이름과 값 사이에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다음은 cm.conf에서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 cm_port
- CUBRID 매니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 포트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8001로 설정된다. cm_port를
통해서 설정한 포트는 cub_auto가 사용하는 포트이며,
cm_js는 자동으로 cm_port로
설정한 값보다 1 큰 값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cm_port가
8001로 설정된 경우 cub_auto는 8001 포트를
사용하고, cub_js는 8002 포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방화벽이 설정된 환경에서 CUBRID 매니저를 구동하려면 반드시 실제로
사용되는 두 개의 포트를 전부 오픈 상태로 설정하여야 한다.
- monitor_interval
- cub_auto의 모니터링 주기를 초 단위로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5초이다.
- allow_user_multi_connection
- CUBRID 매니저 서버에 매니저 클라이언트가 중복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YES이다.
따라서, 매니저 서버에는 두 개 이상의 매니저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수 있으며, 같은 사용자 이름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 execute_diag
- CUBRID 매니저가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진단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OFF
이다. CUBRID 브로커 진단 기능은 이 파라미터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활성화된다.
- server_long_query_time
- 서버의 진단 항목 중 slow_query로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시간(초)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10이다. 서버에서 수행된 질의의 수행 시간이 파라미터
설정 값보다 큰 경우, slow_query의 개수가 증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