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를 언로드/로드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cubrid
unloaddb [
options ] database_name
[ options ]
-i | -O | -s | -d | -v | -S | -C |
--input-class-file | --output-path | --schema-only
| --data-only | --verbose | --SA-mode | --CS-mode | --include-reference | --input-class-only |
--lo-count | --estimated-size | --cached-pages | --output-prefix | --hash-file
| --use-delimiter
cubrid unloaddb의 반환 값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스키마, 객체, 인덱스, 트리거 파일은 같은 디렉터리에 생성된다.
다음은 cubrid unloaddb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정리한 표이다. 대소문자를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옵션 |
설명 |
---|---|
-i --input-class-file |
인수로 지정된 입력 파일에 지정된 클래스를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언로드한다. |
-O --output-path |
스키마와 객체 파일이 생성될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옵션이 지정되지 않으면 현재 디렉터리에 생성된다. |
-s --schema-only |
데이터 파일은 생성하지 않고, 스키마 파일만 생성한다. |
-d --data-only |
스키마 파일은 생성하지 않고, 데이터 파일만 생성한다. |
-v --verbose |
언로드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
-S --SA-mode |
독립 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언로드한다. |
-C --CS-mode |
클라이언트/서버 모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언로드한다. |
--include-reference |
-i 옵션과 함께 사용되며, 객체 참조도 함께 생성한다. |
--input-class-only |
-i 옵션과 함께 사용되며, 입력 파일에 포함된 테이블에 관한 스키마 파일만 생성한다. |
--lo-count |
한 디렉터리에 생성될 큰 객체(LO) 데이터 파일의 수를 설정한다. 디폴트 값 : 0 |
--estimated-size |
예상되는 인스턴스 수를 지정한다. |
--cached-pages |
메모리에 캐시할 객체 테이블의 수를 설정한다. 디폴트 값 : 100 |
--output-prefix |
스키마와 객체 파일명 앞에 붙이는 prefix를 지정한다. |
--hash-file |
해시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
--use-delimiter |
속성 이름을 따옴표로 감싸서 출력한다. |
cubrid unloaddb -i table_list.txt demodb
cubrid unloaddb --input-class-only -i table_list.txt demodb
cubrid unloaddb --include-reference -i table_list.txt demodb
cubrid unloaddb -O ./CUBRID/Databases/demodb demodb
unloaddb: No such file or directory.
cubrid unloaddb -s demodb
cubrid unloaddb -d demodb
cubrid unloaddb -v demodb
cubrid unloaddb -S demodb
cubrid unloaddb -C demodb
cubrid unloaddb --estimated-size 1000 demodb
cubrid unloaddb --cached-pages 500 demodb
cubrid unloaddb --output-prefix abcd demo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