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관련 파라미터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볼륨 정의 및 파일 저장을 위한 디스크 관련 파라미터로 각 파라미터의 타입과 설정 가능한 값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파라미터 이름

타입

디폴트 값

최소값

최대값

temp_file_max_size_in_pages

int

-1

 

 

temp_volume_path

string

NULL

 

 

unfill_factor

float

0.1

0.0

0.3

volume_extension_path

string

NULL

 

 

dont_reuse_heap_file

bool

no

   
temp_file_max_size_in_pages

temp_file_max_size_in_pages는 복잡한 질의문이나 정렬 수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임시 볼륨을 디스크에  저장하기 위하여 최대로 할당할 수 있는 페이지 개수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1이다.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면 temp_volume_path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디스크 공간 이내에서 무제한적으로 임시 볼륨이 생성 및 저장되고, 0으로 설정되면 임시 볼륨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관리자가 직접 addvoldb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임시 볼륨을 생성해야 한다.

temp_volume_path

temp_volume_path는 복잡한 질의문이나 정렬 수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임시 볼륨이 생성되는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에 설정된 볼륨 위치이다.

unfill_factor

unfill_factor는 데이터 갱신에 대비하여 힙(heap) 페이지로 할당되는 디스크 공간의 비율을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0.1로 10%의 여유 공간이 설정된다. 원칙적으로, 테이블의 데이터는 물리적인 순서대로 삽입되지만, 데이터가 원래 크기보다 큰 데이터로 갱신되어 해당 페이지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면 갱신된 데이터는 다른 페이지에 재배치되어야 하므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unfill_factor 파라미터를 통해 힙 페이지 공간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최대값은 0.3(30%)까지 허용된다. 한편, 데이터 갱신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 파라미터를 0.0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갱신을 위한 힙 페이지 공간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고, unfill_factor 파라미터의 값이 음수거나 최대값보다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디폴트 값(0.1)이 적용된다.

volume_extension_path

volume_extension_path는 자동으로 확장되는 볼륨이 생성되는 디렉터리를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디폴트 값은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설정된 볼륨 위치이다.

dont_reuse_heap_file

dont_reuse_heap_file은 테이블 제거로 인해 생성된 빈 공간을 재할당하지 않기 위하여 설정하는 파라미터로 0으로 설정되면 힙 파일 재할당을 수행하고, 1로 설정되면 힙 파일을 재할당하지 않는다디폴트 값은 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