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모니터 템플릿
사이트 레벨의 하위 레벨인 상태 모니터 템플릿 레벨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브로커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상태 모니터 템플릿 레벨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가기 메뉴가 나타난다.
바로가기 메뉴
[상태 모니터 템플릿] 노드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거나, 메뉴바에서 [동작] 메뉴를 선택하여, [새 상태
템플릿] 메뉴를 선택한다.

상태 템플릿 생성
[새 상태 템플릿] 메뉴를 선택하면, 모니터링 대상의 선택 및 템플릿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새 상태 템플릿] 창이 나타난다.

- 선택 가능한 객체 :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할 대상 대체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리스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브로커로
분류되며, 항목을 선택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모니터링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 선택된 객체 : 상태 템플릿에 추가될 객체 리스트를 보여준다. 리스트에 표시된 항목은 서버 관련인지 브로커
관련인지 분류되고, 대상 객체의 이름, 상태 모니터 수행 시 대상 객체를 나타낼 색과 배율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각
항목이 표시될 색과 배율을 지정할 수 있다.
- 템플릿 이름 : 새롭게 생성할 템플릿의 이름을 입력한다.
- 템플릿 설명 : 생성할 템플릿에 관한 설명을 입력한다.
- 샘플링 간격(초) : 대상 객체를 모니터링할 주기를 초 단위로 지정한다.
- 대상 데이터베이스 : 모니터링 대상 객체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관련된 경우 활성화되며, 대상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한다.
상태 모니터링 대상 객체
상태 템플릿에 추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대상 객체에 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링 대상 객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객체 및 브로커 관련 객체로 분류된다.
- opened_page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버퍼 풀에서 쫓겨난 버퍼 페이지의 수를 나타낸다. 서버 버퍼 페이지의
캐시 히트율이 떨어지면 이 값이 증가 한다.
- client_request : 서버 관련 객체이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질의 수를 나타낸다.
- slow_query : 서버 관련 객체이며, 서버에서 실행된 전체 질의중 CUBRID 매니저 파라미터인 server_long_query_time에
설정된 값보다 오래 걸린 질의의 개수를 나타낸다. server_long_query_time 파라미터는 "$CUBRID/conf/cm.conf"에서
변경할 수 있다.
- full_scan : 서버 관련 객체이며, 인덱스를 타지 못한 테이블 스캔의 횟수를 나타낸다.
- dead_lock : 서버 관련 객체이며, 서버에서 발생한 교착 상태의 발생 횟수를 나타낸다.
- lock_request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데이터베이스 클래스나 인스턴스에 관한 잠금 요청의 수를 나타낸다.
- aborted_client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못하고 비정상적으로 연결이
끊긴 횟수를 나타낸다.
- conn_req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데이터베이스에 연결을 요청한 횟수를 나타낸다.
- conn_reject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한 연결이 실패한 횟수를 나타낸다.
- page_read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디스크에서 판독한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수를 나타낸다.
- page_write : 서버 관련 객체이며, 디스크에 쓴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수를 나타낸다.
- request_sec : 브로커 관련 객체이며, CUBRID 브로커에 들어온 요청 횟수를 나타낸다.
- active_session : 브로커 관련 객체이며, CUBRID 브로커에 현재 접속 중인 세션 수를 나타낸다.
- transaction_sec : 브로커 관련 객체이며, CUBRID 브로커에서 처리한 트랜잭션 수를 나타낸다.
broker의 active_session을 제외한 다른 모든 객체의 모니터링 값은 모두 마지막 샘플링 시간 간격 동안
일어난 횟수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