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자동화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하면, 접근할 수 있는 백업 자동화를 탐색 트리에서 볼 수 있다.
CUBRID 매니저 서버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백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백업 자동화를 사용한다.

백업 자동화 추가

- 백업 ID: 백업 작업의 이름을 설정한다. 백업 계획이 여러 개일 수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는 유일해야 한다.
- 백업 수준: 0, 1, 2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0레벨은 전체 백업을 의미하고, 1레벨은 0레벨 백업 이후의 변경 내역만 백업하는 1차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을 의미하며, 2레벨은 1레벨 백업 이후의 변경 내역만 백업하는 2차 증분 백업을 의미한다.
- 백업 경로: 백업 볼륨이 저장된 디렉터리를 설정한다.
- 백업 주기: 백업을 수행할 주기를 매월, 매주, 매일, 특정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상세 주기: 선택한 백업 주기를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 백업 시간: 자동 백업을 수행할 시간을 입력한다. 시간과 분을 각각 입력한다.
- 이전 백업 파일 보존: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기존 백업 볼륨 파일을 database_directory/backupold 디렉터리에 저장하는 옵션이다.
- 보관 로그 볼륨 삭제: 백업 시, 보관 로그 볼륨들을 삭제한다. 해당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복제 마스터 서버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관 로그 볼륨 삭제를 수행하면, 자동으로 복제에 영향이 없는 부분까지만 삭제한다.
- 백업 후 데이터베이스 통계 정보 갱신: 백업 수행 후, 통계 정보를 갱신한다.
-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검사: 백업 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검사를 수행한다.
- 압축 백업 사용: 백업 시, 압축을 사용한다.
- 병렬 백업(스레드 수): 백업 시, 몇 개의 스레드를 동시에 이용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최대값은 CPU 개수만큼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며, 디폴트 값은 0이다.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 경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스레드 개수가 결정된다.
- 온라인 백업: 데이터베이스가 구동 중인 상태에서만 자동 백업을 실행한다. 중지 상태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지 않고 에러 로그만 기록한다.
- 오프라인 백업: 데이터베이스가 중단 상태일 때만 자동 백업을 실행한다. 데이터베이스가 구동 중이면 데이터베이스를 강제 중단하고 자동 백업을 수행한 후, 다시 데이터베이스를 구동한다.
백업 자동화 로그
백업 자동화에서 발생한 오류 로그를 제공한다.

백업 자동화 편집 / 삭제
등록된 백업 자동화 작업을 백업 자동화 추가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집하거나, 필요없는 백업 자동화 작업을 삭제한다.
탐색 트리에서 해당 백업 자동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여 [백업 자동화 편집] 또는 [백업 자동화 삭제]를 선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