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하면, 접근할 수 있는 테이블과 시스템 테이블을 탐색 트리에서 볼 수 있다. 탐색 트리에서 [테이블]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면, [테이블 추가], [동일 구조 테이블 추가], [새로고침] 메뉴가 나타난다.

테이블 추가
탐색 트리의 [테이블]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해서 [테이블 추가]를 선택하거나, 툴바에서 [테이블 추가
]를 클릭하면, 새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마법사가 나타난다.

- [일반] 탭 : 추가할 테이블 이름을 정의하고 컬럼을 추가, 편집, 삭제할 수 있다. 정의된 컬럼에 대해 기본키(PK)를 설정할 수 있으며, 테이블을 생성하기 전에는 [↑], [↓]를 클릭해서 선택한 컬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 추가할 컬럼 이름, 컬럼 타입, 기본 값 및 컬럼 제약 조건을 컬럼 추가 마법사로 설정할 수 있다. 문법에 맞지 않는 내용이 입력되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문법에 맞지 않는 내용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한다.
- OID 재사용 : REUSE_OID 테이블 옵션이 적용되어 테이블을 생성하며, 이러한 테이블에 대해서는 OID를 이용한 기능은 제한된다. OID 재사용 테이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테이블 옵션(REUSE_OID)을 참고한다.
- [외래키/인덱스] 탭 : 외래키와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다.
- 외래키 추가 : 외래키 이름, 참조 테이블 이름, 참조 테이블의 기본키를 외래키 추가 마법사로 설정할 수 있으며, 참조 관계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트리거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ON UPDATE, ON DELETE, ON CACHE OBJECT 옵션을 제공한다.
- 인덱스 추가 : 인덱스 이름, 인덱스 타입, 인덱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컬럼을 인덱스 제약 조건 추가 마법사로 설정할 수 있다. 오름차순(asc) 정렬과 내림차순(desc) 정렬은 지원되는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REVERSE 인덱스는 내림차순 정렬만 지원된다.
- [분할] 탭 : 해당 테이블에 대한 분할 설정 및 변경을 지원한다.
-
- 분할 추가 : 분할 추가 마법사로 분할 형식과 분할 표현식을 설정할 수 있다. RANGE, LIST, HASH 분할을 지원한다.
- 분할 편집/삭제 : 분할 관리 기능 중 분할 편집 및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 [SQL문] 탭 : [일반] 탭과 [외래키/인덱스] 탭에서 설정한 대로 생성된 SQL 문을 확인하고 복사할 수 있다.
객체 지향 테이블 추가
객체 지향 속성을 가지는 테이블을 추가하려면 [객체 지향 속성 보기]를 선택한다. [객체 지향 속성 보기]를 선택하면, 상속 탭이 추가된다.

- [일반] 탭: [객체 지향 속성 보기]를 선택하면, 컬럼 항목으로 SHARED, INHERIT, CLASS 정보가 추가된다.
컬럼 추가 및 편집 시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컬럼 형식을 선택할 수 있고, 데이터 타입으로 OBJECT와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 [상속] 탭: 상속하고자 하는 수퍼 테이블을 정의할 수 있으며, 컬럼 이름이 충돌하면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체 조회
탐색 트리에서 각 테이블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하여 [전체 조회]를 선택하면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질의 편집기]가 열려 있을 때 질의 편집기의 편집 창 또는 결과 창에 해당 테이블을 끌어서 놓아서 수행할 수 있다. 수행하면 새로운 질의 편집기가 열리면서 전체 데이터를 조회한다.
개수 조회
해당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 개수를 조회한다. 다음 구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SELECT COUNT(*) FROM table_name
DELETE ALL
해당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를 삭제한다. 다음 구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DELETE FROM table_name
TRUNCATE TABLE
해당 테이블의 전체 데이터를 삭제한다. 테이블에 정의된 모든 인덱스와 제약 조건을 포함하여 모든 레코드를 한 번에 삭제하기 때문에, [DELETE ALL]보다 빠르다. [TRUNCATE TABLE]을 사용해서 삭제하면 ON DELETE 트리거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다음 구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TRUNCATE TABLE table_name
데이터 입력
해당 테이블의 타입과 제약 조건 등을 보면서 각 컬럼별로 값을 입력할 수 있다.

- 여러 인스턴스를 추가할 때, 각 질의와 결과 사이에 줄바꿈 문자를 추가하여 구분할 수 있다.
- 각 필드의 값을 입력할 때 <Enter> 키를 누르면 다음 필드로 커서가 이동한다.
- [지우기]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상자의 값, 수행 이력까지 초기화한다.
- 수행 이력창은 편집할 수 없다.
- DATE, TIME, TIMESTAMP, DATETIME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는 타입 별로 시스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ATE 타입 같은 경우 SYSDATE, SYS_DATE, CURRENT_DATE, DATE'2009-07-05'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 가져오기
엑셀 또는 CSV 파일의 데이터를 가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 데이터를 가져올 파일의 문자 세트가 데이터베이스의 문자 세트와 다를 경우, 아래처럼 파일의 문자 세트를 설정한 후 가져오기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내려받기
데이터 내려받기 기능을 사용해서 해당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엑셀, CSV, SQL, 큐브리드 로드 형식으로 받을 수 있다.

테이블 삭제
해당 테이블을 삭제한다. DROP TABLE 문과 동일하다.
테이블 이름 변경
현재 테이블의 이름을 새로운 이름으로 변경한다. RENAME TABLE 문과 동일하다.
동일 구조 테이블 추가
이미 존재하는 테이블과 동일한 스키마 구조를 가지는 빈 테이블을 생성하며, CREATE TABLE LIKE 문이 수행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CREATE TABLE LIKE를 참고한다.

테이블 편집
[테이블 추가]의 모든 기능을 테이블 편집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테이블 내의 컬럼 순서는 조정할 수 없다.
테이블 정보 보기
해당 테이블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테이블의 스키마 구성 정보를 조회해 볼 수 있다.
